본문 바로가기

[청년희망적금]2022 청년희망적금 /5부제 신청/은행별 우대금리 비교/2주차 신청기간, 운영시간

by 선제로 2022. 2. 25.

오늘은
일찍이 청년희망적금을 확인 못한 청년들,
5부제 신청기간이 늦은 사람들에게
좋은 소식을 알려주겠다.

1.청년희망 적금이란?

일단 청년희망적금이 뭐냐면
19~34세 청년에게
연 9% 금리 수준의 혜택을 주는 적금
임.

1.
2년 동안 매월 50만 원 한도로
자유롭게 납입 가능

2.
만기까지 납입시 저축장려금 지급
-1년 차 납입액의 2%
-2년 차 납입액의 4%만큼 지급

3.
이자소득 비과세 혜택 지원
을 해주는 좋은 적금상품이다.


신청자는 1개 은행을 정해 1개만
개설 가능하다.

은행마다 추가적인 우대금리 때문에
은행 마다 금리는 다르지만
은행 제공 최소 금리가
최소 연 5%라고 가정했을 때

납입액 50만 원씩
매월 적금하면 2년 후 총 1200만 원
+저축장려금으로 36만 원+은행 이자로 62.5만 원

그리고 이자소득세(17.9만 원)를
내지 않게 되며 마이너스는 없음.

실 수령액은 1298.5만 원으로
연 9.31%의 일반 적금과
수령금액이 비슷한 수준임.

2.지원 자격

-개인소득 총 급여 3,600만 원(종합소득금액 2,600만 원)
이하면 가입 가능: 21년 1월~12월의 소득이
확정되기 전에는 20년 1월~12월 소득으로
가입자 요건 판단함.

-직전 3개년도 중 1회 이상
금융소득 종합과세
[연간
금융소득(이자소득과 배당소득의 합)이
2000만 원을 초과 경우]
대상자는 가입 제한 한다고 한다.

3.청년희망적금 5부제 시행

금융당국은 사람들의 신청이
너무 많을 것을 고려해서

2월 21일부터 2월 25일 첫 주 동안은
출생 연도 끝자리 5부제 신청
진행을
하였음.

21-1,6년생
22-2,7년생
23-3,8년생
24-4,9년생
25-5,0년생

근데 청년희망적금 수요 폭발이
우려됐던 것이 현실이 됨.

금융당국이 정한
청년희망적금 배정 예산으로는
38만 명만 혜택 받을 수 있는데

미리 보기 서비스로 사전 신청 기간 동안
신청건수가 200만 건이 넘어서

5부제 신청기간이 지나면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사람이
거의 없을 수도 있었음.

4.  5부제 신청기간 이후 신청 가능

이거에 대해 금육 당국은
기획재정부와 협의할 것이라 했음.

그리고 금융당국은
다시 2월 22일 다시 예산을 추가하고,

3월 4일까지 적금 희망자 모두
가입이 가능하게끔
조치했음.

그래서 신청기간을 놓친 사람들은
5부제 가입기간 이후 둘쨋주인
2.28~3.4에 영업일 운영시간 중에
가입이 가능
하다고 함.

5.영업시간

(비대면 가입) am09:30~pm06:00
(대면 가입) am09:30~pm03:30
!! 3.1(화)은 영업일이 아니니 가입 불가!

6.청년희망 적금 신청 은행

청년희망적금이 출시되는
은행은 총 11곳이다.

앞에서 말했듯이
1개 은행을 선택하여
1개 계좌만 개설 가하다.

개설 가능 은행:
국민, 신한, 우리, 농협, 기업,
하나, 부산, 대구, 광주, 전북, 제주


은행이 제공하는 금리는
은행연합회 소비자 포털
예금상품 금리 비교공시사이트에서
은행별로 비교가 가능하다.

https://portal.kfb.or.kr/compare/receiving_young.php

전국은행연합회 소비자포털

금융상품정보, 금리/수수료 비교공시, 금융서비스정보, 소비자정보, 금융교육

portal.kfb.or.kr



7.은행별 금리 조건


은행들의 기본금리는 5% 모두 동일하지만
은행마다 우대금리와
우대금리 조건이 조금씩 다르다.

-은행별 금리, 우대금리, 우대금리조건

기업:5.00% (24개월), 최고 5.90%(24개월) 급여, 카드
국민:5.00% (24개월), 최고 6.00%(24개월) 첫 거래, 급여
신한:5.00% (24개월), 최고 6.00%(24개월) 급여, 첫 거래
우리:5.00% (24개월), 최고 5.70%(24개월) 급여, 카드, 첫 거래
농협:5.00% (24개월), 최고 6.00%(24개월) 급여, 카드, 첫 거래
하나:5.00% (24개월), 최고 5.70%(24개월) 급여, 카드, 주택청약
부산:5.00% (24개월), 최고 5.50%(24개월)
대구:5.00% (24개월), 최고 5.50%(24개월)
광주:5.00% (24개월), 최고 5.20%(24개월)
전북:5.00% (24개월), 최고 5.20%(24개월)
제주:5.00% (24개월), 최고 6.00%(24개월) 급여, 첫 거래

각 은행 사이트에 가면
우대금리와 우대금리 조건들이 있다.

우대금리 조건들을 비교해 가며
신청하는 것이 좋을 것임.

은행들 중 기업, 국민, 신한, 농협, 하나은행의
우대금리 조건들을 말해주겠다.

-기업 (적금 기간 중)

종이통장 미발행시 0.3%
급여이체 실적이 6개월 이상 있을 시 0.3%
신용(체크) 카드 300만 원 이상 사용 시 0.3%

-국민

만기 전전월까지급여이체실적이
월 50만 원 이상으로 6개월 이상시 0.5%

신규일 기준 예금 적금 상품
보유하지 않은 첫 거래 시 0.5%

만기 전전월까지 자동이체로
국민은행 입출금통장에서
적금으로 납입 6개월 시 0.3%

-신한은행

신한 인증서 발급 시 0.2%

머니 버스 가입 후
금융자산을 1개 이상 연결 시 0.3%

50만 원 이상 소득 이체 실적 시 0.5%

상품 가입 신규 직전 1년간
신한은행 적금이 없었던 경우 0.5%

-농협

급여이체실적이 12개월 이상일 시 0.5%

농협 개인카드
월평균 20만 원 이상 이용실 적시 0.2%

적금 가입 직전 1년간
농협 예적금을 보유하지 않았을 경우 0.3%

-하나

급여 및 주거래 이체 12회 시 0.2%

신용카드 결제실적 12회 이상 시 0.2%

예금 가입 후 3개월 이내
주택청약 신규 가입 후 만기까지 보유 시 0.2%

마케팅 동의 시 0.1%



은행별 우대금리 한 번에 보기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aver?volumeNo=33315506&memberNo=31236733&vType=VERTICAL

오늘(2/21)부터 청년희망적금 신청! - 청년희망적금 대상부터 은행별 금리까지 총정리

[BY 카드고릴라] 연 9% 수준의 이자를 가져갈 수 있는 ‘청년희망적금’이 오늘(2022년 2월 21일)부터 시...

m.post.naver.com


댓글